4/4
LG화학 관련 뉴스 (SH)
GM Volt 3월 판매 2289대로 사상 최대로 전월 (1023대)보다 배이상 증가
→약화된 LG화학의 벨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재차 상향시킬 요인으로 작용 기대
4/3
LG상사 폭락 배경
인도네시아도 자기네 자원들 해외 유출 막을라구..광구법 개정
기존 lg상사 mpp 광구 현재 lg상사가 100% 들고 있는데..51% 팔아야 된다는 논리...
MPP 광구 남은게 7년인데.. 지분매각은 10년 이내 하면 되는거라 실제로는 영향 없을 듯
- 현재 펀더멘털 관련해서는 특별한 하락 사유가 파악되지 않고 있음.
- 1분기 다소 부진한 실적은 이미 시장에 알려진 재료이나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은 열어놓아야 할 듯.
하지만 2분기 이후 E&P 및 신사업의 재원마련을 위해 GS리테일 지분매각 추진하고 있어 일회성 이익이 예정되어 있음
- 최근 기관 매도세가 지속되고 있어 기관의 long short 전략상 매도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는게 중론
- 금일도 주요 기관 중심으로 매물 출회가 지속되고 있음.
3/21 (대신증권 유통/섬유, 정연우 769-3076)
- 2월말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외국인투자자들의 광산투자에 있어 지분율 49%로 제한한다는 점이 조정 이유로 작용
- 기존 인도네시아 MPP 광구(지분율 100%), 뚜뚜이 광구(지분율 75%)에 미치는 영향은 현실적으로 미미
- 신규투자에서 지분율 제한이 우려가 되지만, 향후 인도네시아 석탄 투자는 기존 MPP, 뚜뚜이와는 달리 매장량 1억톤 이상의 대규모 광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분율 50% 이상을 갖고 가기 어려웠던 상황
- 결과적으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 인도네시아, 중국에서의 원활한 신규 투자 예상되어 긍정적 관점 필요
3/30
▶ LG디스플레이-최근 주가하락에 대한 반론(反論)(DY)
- 홍하이-샤프 제휴가 심각하지 않은 이유
- P/B 0.9배 미만. 저점매수의 기회
: 최근 LG 디스플레이 주가하락의 원인으로
1)홍하이의 샤프 지분매입 결정,
2)AUO 와 CMI 의 유상증자 발표,
3)LG 디스플레이의 신디케이트론 조달 계획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홍하이와 샤프의 제휴가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지속적으로 우려를 확대 재생산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홍하이-샤프 제휴가 심각하지 않은 이유는
1. 1등 하는 업체는 결함 있는 업체를 주 거래선으로 쓰지 않는다
2. Apple 이 Sharp 에 보내는 최후통첩일 수 있다
3. LGD 와 삼성전자가 개발할 때까지 Oxide 전용기기는 없을 전망
4. 샤프의 성장으로 누군가의 비중이 준다면, 그게 LGD 일까?샤프 때문에 누군가의 비중을 줄여야 한다면, 최대 경쟁자인 삼성전자일 가능성이높다.
5. 합종연횡은 사업철수의 수순
6. Sharp 와 CMI 간의 제휴 강화? 샤프에게는 전과(前科)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를 근거로 이번 홍하이-샤프 이슈는 LG 디스플레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1분기 영업실적은 iPad3 불량이슈로 부진하지만, 2분기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2분기 중반 이후 LCD 업황이 회복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여 2분기에 나타날 실적개선은 기조적인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LG 디스플레이에 대한 비중확대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최근 하락으로 P/B 가 0.9배에도 못 미치는 만큼 저가매수의 기회로 판단된다.
3/28
LG화학,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5에 배터리 공급량이 대폭 줄 것이라는 기사가 보도되며 주가 약세. (아시아경제)
기존 아이폰에는 LG화학, SDI, 산요 등이 20%대로 유사한 비중 차지. 아이폰5에는 LG화학 비중이 한 자리수로 떨어질 것이라는 것.
- 아이폰에 공급하는 배터리는 폴리머전지. 동사 CAPA는 현재 월 1,400만셀. 4월에 중국에서 +400만셀(월) 증설 완료.
- 현재 신형 아이패드에도 CAPA 부족해 공급 못하고 있는 상황. 증설된 물량은 신형 아이패드에 2Q부터 본격 공급 예정.
LG화학은 연내 출시되는 '아이패드 미니'에도 배터리 공급 예정. 기존에도 아이폰 보다는 아이패드에 공급량이 많았다고 함.
정보전자 실적에는 큰 영향 없을 듯.
3/20
미국 상무부, 삼성전자/LG전자/Eletrolux에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미국 상무부, 삼성전자/LG전자/Eletrolux에 "하단냉동고형 냉장고"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4/30 미국 ITC 최종 결정) (KTB투자 박상현)
금번 반덤핑 관세 부과는 미 가전업체 월풀의 제소에 따른 것으로 상무부는 전년 10월 덤핑 예비판정
삼성전자: 한국산 5.16%, 멕시코산 15.95% 적용
LG전자: 한국산 15.41%, 멕시코산 30.34% 적용
일렉트로룩스: 멕시코산 22.94% 적용
3/16
LG유플러스 주가 강세 이유 - 한국증권 양종인
- LTE 효과(우량 가입자 비중 상승,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
- 1분기 마케팅경쟁이 예상보다 치열하지 않아 추정이익이 증가 중
- LTE 가입자수는 120만명을 돌파. 12년 가입자당 매출액 5% 증가 예상
'Believe it or n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림산업 (0) | 2012.04.09 |
---|---|
전일 기관 매도세 집중 원인(04.05) (0) | 2012.04.05 |
Spot Comment(04/04) - 금일 급락세 요인 점검 (0) | 2012.04.04 |
▶ 발전기자재 급락 (04/04) (0) | 2012.04.04 |
▶ 건설주 급락관련 (Update : 04/06) (0) | 201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