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SK Hynix Wuxi fab

 

 

 

 

Hynix 화재 :  이 한 몸 진토되어글로벌 반도체 경기에 이바지

 

Hynix 중국 공장 화재에 대한 미 증권사 Piper Jaffray 의견

 

While the estimated start up of this China fab is unknown, we estimate it could contribute 15-20% of the worldwide DRAM capacity.

We expect this incident to have a favorable near-term impact on DRAM pricing which has been down anywhere from 5-15% for this quarter (ytd is up > 70%).”

 

우리가 이젠 대만(지진) 짝이 난 격--> MU +5.3% (시간외 +0.05%)

 

 

금일자 CS에서 Hynix 화재에 대한 보고서 발표

 

Wuxi fab has been shut down; it runs about 135K DRAM wpm, representing about 50% of Hynix’s DRAM capacity.

This is about 12% of global DRAM wafer capacity and supply.

 

Damages likely covered by insurance:

According to our insurance sector analyst, typically, such major production sites are insured and reinsured for both physical assets and financial damages with many insurance companies involved, insuring various parts, then re-insuring the policies.

Precedents are well documented in the past with similar examples in other semiconductor companies, although the recovery rate depends on the type of insurance policies taken out.

 

Impact assessment:

Wuxi fab has been shut down due to the fire.

The fab runs about 135K DRAM wpm, which represents about 50% of all of Hynix’s DRAM capacity.

As Hynix is one of the largest DRAM producers in the world, the shutdown represents about 12% of global DRAM wafer capacity and supply.

 

Clearly, a short-term shutdown (with many precedents) will not likely cause much disruption to the supply chain as wafers in a full production line are partially damaged with minimal amounts of wafer loss.

Also, there should be sufficient inventory at the customer level and producer’s finished goods level in the global supply chain to cover disruptions of short duration.

Much longer duration or complete damage to the fab would clearly impact the global technology supply chain that depends on DRAMs such as handsets, PCs, servers and other consumer electronics.

Again, any outcome is speculative, but either way DRAM ASP is expected to rise on this event benefiting Hynix’s competitors.

 

 

 

 

 

JPM의 금일자 Hynix 보고서는 제목부터가 부정적

(투자의견은 예전 그대로 Netral이며 TP 조정 없으나...)

 

Fire in China DRAM fab; could be serious

 

Status of Wuxi DRAM fab:

The majority of the output is PC DRAM and some server DRAM at 29nm.mDRAM is around 10% of total capacity, which translates into approximately 15K/month.

Hence, the impact to PC DRAM should be relatively high, in our view.

 

Is it really serious?

However, given that all operations have been suspended and that smoke could have leaked into a cleaning room, the issue could be serious, in our view.

Unlike other manufacturing processes, semiconductor fabs should operate without stoppages.

Even brief power outages usually cause meaningful damage due to low yields and retooling time.

Since all equipment has stopped, WIP (Work-In-Process) wafers are likely to be scrapped.

Of note, front-end process time is usually four to five weeks.

 

Although we do not know how much capacity is impacted, there is a chance for PC DRAM spot prices to hike in the near term.

On the other hand, PC contract prices are unlikely to move up, given the weak PC market, in our view.

 

As such, we expect near-term pressure to SK Hynix’s share price.

 

 

 

9 5() 체크:

* 오늘은 SK하이닉스 화재 때문에 시끄러울 듯 합니다.

 

- 다행스럽게도 굉장히 큰 피해를 우려했던 어제와는 달리 금일 애널리스트들의 중론(하이닉스 입장이 적절히 반영된)은 전반적으로 한달내 정상가동이 가능하다는 의견.

- Fact만 살펴본다면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전일 5%대 상승으로 마감했고(장중 고가는 7.6%), 반도체 현물시장 동향은 하이닉스 사태가 알려지지 않아 소폭상승에 그쳐 금일 반영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라인자체의 피혜는 거의 없고 화재로 인한 가스로 오염되어 라인/장비 등의 세척과 웨이퍼 재투입이 필요한데 재가동 자체는 2~한달 정도면 가능하지만 완전 정상적인 가동은 3개월 정도가 필요.

- 우시공장은 PC/서버 DRAM 85%, 모바일DRAM 15%. 모바일내 중국비중은 30%. 하이닉스 내 DRAM캐파의 50%이고 글로벌내 10% 비중으로 보시면 됩니다.

- 장비소실률이 크지 않아 장비업체 영향은 현재로서는 제한적. , 후공정 업체 및 반도체 소재에는 악재.

- 보험사 등의 노출은 미미(현대해상 최대 노출이나 최대 50억 내외 예상, 재보험 역시 분산)

- 당연히 아침에 삼전은 갭상승, 하이닉스는 갭하락으로 시작할 것이며, 최근 장분위기나 외국인의 하이닉스 매수상황을 감안하면 반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다만, 하이닉스에 대한 실적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적어도 당초 전망에서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는 반등을 이용해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sk하이닉스 주가 판단> 하이 송명섭

 

- 일단 오늘 아침 주가 급락은 피할 수 없을 것이나 이후 DRAM 가격의 급등에 따라 점차 낙폭을 줄여나가는 흐름 예상

- 오늘 이후에는 동사 피해 규모의 실상과 DRAM 가격의 상승폭이 각각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주가의 변동이 나타날 것임

- 다만 분명한 것은 이번 화재로 인해 DRAM 가격의 급등이 나타날 것이고 SK하이닉스의 생산은 결국 회복될 것이라는 점임

- 또한 당사의 판단으로는 4Q 동사 DRAM 출하량이 30% 감소하는 최악의 경우에도 가격 상승에 따라 동사 4Q OP 7천억원은 유지될 전망임  

- 내년에도 공급증가율의 부진에 따라 업황 및 동사 실적 호조가 이어질 전망이므로 동사 주가 급락 시에는 매수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

 

 

[WM/타사코멘트]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공장 화재 관련   - KDB대우증권 투자정보지원부 -

- 한국투자증권 -

 

CVD 공정에서 스파크로 실란가스가 폭발, 대규모 화재 발생. 전직원 대피 후 진압중

 

● 피해규모는 전체 Capa 130Kwpm가 상당기간 생산이 불가능할 전망. 하이닉스 Capa의 절반, DRAM 전체 Capa 13% 수준

 

5 DRAM spot 가격 급등, 삼성전자 주가 상승 예상. 하이닉스는 생산차질 및 피해로 주가 급락 전망

 

 

[SK하이닉스 피드백] KDB대우 송종호

** 중국 우시 라인 화재 영향과 대응 전략

 

>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C2(13만장, 하이닉스의 43%, 글로벌 Capa 14%, 대부분 PC DRAM 생산)에서 발생한 화재는 초기에는 1) 종형확산로(디퓨젼)에서의 실란가스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2) 이후 스크러버 가스 배관에서의 화재 가능성으로 파악됨. 2)의 경우에는 1)의 경우보다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 피해 복구 기간에 따라 세 가지 시나리오 예상. 1) 피해 복구 1~2주 소요. 3~6만장 피해 -> 3Q 하이닉스 DRAM 출하 3.5~7% 감소, PC DRAM 가격 단기 상승, 2)  한달 이상 소요. 13만장 피해 -> 3Q13 하이닉스 DRAM 출하 10~15% 감소, PC DRAM 가격 급등, 3) 최악의 시나리오로 Fab 일부 전소 가능성은 희박. 시나리오 1)의 확률이 80%, 시나리오 2)의 가능성이 20%로 판단

> 주가 영향과 대응 전략 : 1) 하이닉스 주가에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 예상되나 공식 피해 규모가 경미할 경우 재차 상승 예상. 2) 전일 마이크론 주가는 5% 이상 급등.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 예상. 3) 클린룸 피해가 최소화되었을 경우에는 장비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다소 제한적일 전망. 공식 피해 발표 참조

 

 

<신한생각>

하이닉스 관련 컨퍼런스 콜 요약 입니다.

 

중국 우시팹은 현재 HC1라인(주력 생산 팹이며 월 13만장 생산) HC2라인(거의 사용 안함) 있음. 이중 HC1 라인이 화재가 발생함. 클린룸 외부에서 화재 발생으로 추정

현황 : 클린춤내 피해 미미함. 총 장비가 200~300대 정도 되는데 장비 5대가 손상을 입었으며 교체가 아니라 보수로 복구가 가능한 상황

 

클린룸 외부 피해가 발생: 집진장치인 덕트와 세정장치인 스크러버 피해 발생

HC1의 덕트 등을 활용하면 1주일내 재가동이 가능할 전망

 

비해규모는 우려보다 미미할 전망 : 4천장, 일주일 정도 가동중단을 예상할 때 2~3만장정도 생산차질 발생

이는 하이닉스 전체 D램 생산량의 7% 수준으로 1,000~1,500억원 손실 추정

 

보험 및 D램 가격 상승으로 일부 보전 가능하며 재고도 10일치를 보유하고 있음

 

4분기 실젇도 좋을 것으로 보이는 바 사고에 따른 일회성 이슈로 주가가 크게 하락한다면 매수 대응 필요

 

 

[종목 SPOT 코멘트]

* SK하이닉스(000660)의 이슈 내용

 

-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C2라인(13만장, 하이닉스의 43%, 글로벌 Capa 14% 차지)에서 화재가 발생

 

- C2라인 공기 정화 장치쪽에서 화재 집중 된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복구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장비들 쪽에서는 큰 영향이 없은 것으로 회사측에서는 파악

 

*당사 에널리시트견해

 

- 반도체 생산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 때문에 생산에 차질이 발생 할수 있음

 

  하지만 2주 가량의 재고 보유중이며 피해복구에 1~2개월 소요 된다고 해도

 

  동사가 입을 수 있는 펀드멘탈 상의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동사의 생산 차질이 심각하지 않으면 현물가격 변동 크지

 

  않을것이지만, 동사의 실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정거래선 가격은 소폭 긍정적인 효과 기대

 

※ 과거 삼성전자 정전사태시 DRAM 가격 상승에 따라 삼성전자 주가에 큰 악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던 경험이 있음, 그 때보다 다소 심각한 상황일수 있어 DRAM가격 상승폭에 따라 하이닉스 주가에 영향이 달라질수 있는 변수도 존재하지만 단기 주가 하락시 중기적 관점의 저가매수 유효

 

- 변수 : 피해복구를 위해 써야하는 비용이 있을수 있으며, 1천억 미만의 실적상 부정적 영향은 있을 수 있음

 

 

교보증권 반도체 최도연입니다.

 

SK하이닉스 IR 입장

- 옥상으로 통하는 공기정화시설에 화재 집중

- 클린룸 내 제조장비에 큰 문제 없어 조만간 조업 재개 기대

- 피해의 대부분을 보험을 통해 보상 가능

- , 정확한 피해상황(웨이퍼 파티클 이슈)과 구체적인 보험계약 상황은 여전히 파악 중

- 라인 재가동 시기는 미정. 정확한 상황 파악후 소통 예정

 

일단, 설비 피해가 적기 때문에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SK하이닉스에 대한 체크 포인트는...

(1) 라인내 웨이퍼 피해규모

(2) 구체적인 보험계약 상황

(3) 라인 재가동 시기

가 될 것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SK텔레콤(017670) / TP 260,000(유지) / BUY(유지) / KTB 송재경 ☎2184-2305]

SKT 최선호 유지, 하이닉스 화재로 인한 악영향은 우려할 수준 아님

 

하이닉스의 감익은 OP -3.5천억원 내외(하이닉스EPS 10% 수준)

하반기 SKT 지분법평가익 감소는 산술적 700억원 내외

하이닉스발 지분법익 계산시 보수적으로 추정치의 80% 수준만 반영중

따라서 금번이슈가 우리의 SKT EPS 추정치에 미치는 악영향 거의 없음

SKT PER 13/14년 각 9.4x, 8.7x 수준으로 여전히 매력적 밸류에이션

 

 

<신한생각> 반도체 김영찬

하이닉스 우시 화재 코멘트

 

1) 현재 진화 완료

 

2) 피해규모 확인안되고 있음

 

3) 생산량( 13.5만장) 중 피씨, 서버 등 코모도티가 약 80%(코모도티 완제품 재고 10-12일 보유중)

 

4) 생산 일부 차질 예상되나, 2시간만에 진화, 일본 지진때처럼 펩가동 장기화되지 않을 것

 

5) 과거와 달리 업계 전체 제한적 공급증가 상황이므로 수급은 더 타이트해 져 가격에 영향을 줄수 있음

 

6) 추가로 파악되는대로 공유하겠습니다.

 

 

SK하이닉스 중국 우시공장 화재관련

LIG증권 홍성호 (02-6923-7336)

 

- 우시공장 개요

 

 SK하이닉스 DRAM capa. 55% (14만장/) / NAND 포함 전체 capa. 35% / PC, Server, Consumer DRAM 중심 생산

 

 전세계 DARM capa. 13%

 

 HC1/2 두 개의 공장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HC1 8인치 공장에서 최근 HC2의 구리공정 보조라인으로 활용되고 있음

 

- 사건 개요

 

 장비설치 작업 중 화재발생. 현재 진화되었으나 HC1이 전소된 것으로 판단됨. 사망자 2, 사상자 20여명이라는 소문

 

- 피해 추정

 

 시나리오1. HC1 전소, HC2 가동: 2~3/만장의 capa. 감소 발생. 3분기 매출액 기준 4~5% 하락. 가능성 낮음

 

 시나리오2. HC1 전소, HC2 생산중단: 전원공급 차단 시 라인 내 웨이퍼 (30~40일 치) 전량 오염. 3분기 매출액 10~15% 하락. 재가동까지 1개월 소요 감안하면 10월 매출에도 비슷한 규모의 매출 하락 추정

 

 시나리오3. HC1 전소, HC2 일부화재: 복구시 까지 2~3개월 소요. 3분기 매출액 10~15% 하락 뿐 아니라 4분기 매출에도 심대한 타격 예상 (SK하이닉스 매출의 1/3 감소)

 

- 시나리오2 가정시 3분기 영업이익 1.2 → 0.9조 하락, 4분기 영업이익 0.8 → 0.6조 하락 예상. 시나리오3 가정시 피해액 기하급수적 증가 예상

 

- 시나리오3 가정시 국내 장비주문 증가 예상: 유진테크, 테스, 피에스케이 수혜 / 상대적으로 삼성전자 비중이 높은 원익IPS, 국제엘렉트릭 등은 수혜 제한적일 것

 

- 모바일 DRAM 은 이천 M10에서 주로 생산함에 따라 주요 스마트폰 고객향 공급에는 큰 차질이 없으나 PC OEM향 공급에는 큰 차질이 예상

 

- PC DRAM 공급 부족으로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경쟁사 반사 이익 예상 / SK하이닉스 주가 급락 전망.

 

 

< SK하이닉스 우시 라인 화재 관련 > [현대/박영주]

 

- 금일 오후 5시경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라인에서 디퓨전 장비 폭발로 인한 화재 발생. 피해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

 

- 우시 공장의 정확한 개요: 9월 현재 우시 라인의 DRAM 생산을 위한 웨이퍼 투입량은 14만장으로 전체 SK 하이닉스 DRAM 생산을 위한 웨이퍼 투입량의 53%에 해당. 14만장 중 80% PC Server DRAM에 할당. 20%를 소폭 하회하는 웨이퍼가 Mobile DRAM

 

 

- 참고로 지난 8월 현재 전세계 DRAM Capa 107만장

 

 

(신한)

 

클린룸 라인내에서 불이 났는지 얼마나 피해가 심한지 확인중인데 외부에서 화재 발생 된것으로 추정함!

 

공장 내 200대 장비 중 실제로는 5대 내외 장비에만 피해!(교체가 아닌 수리로도 사용 가능한 수준의 피해임)

집진장치와 세정장치에 데미지! (HC2 라인 공장에서 화재)

하지만 옆에 HC1라인에서 휴무 중인 장비 뜯어와서 교체 가능!

2~3만장 정도의 데미지 발생 (전체 D램 출하량 중 7% 데미지)

또한 일정부분은 화재 보험으로 보존 가능!

 

따라서 현재 1000억 정도의 손실 발생 예상!!

펀더멘털이 아닌 단순한 사고에 따른 일회적 이슈이므로 실적은 자동적으로 정상화 될것으로 판단함.

 

과도하게 밀릴 경우 매수접근 유효!!

모바일 D램 수요 여전하다는 측면에서 주가 조정 시 매수!!

 

 

 [교보증권 반도체 최도연] SK하이닉스 화재 관련

 

장비 1대 피해에 왠만한 장비 다 살릴 수 있다는 내부 소식을 들었습니다.

 

사실이기를 간절히 바라며, 회사측의 공식 입장을 기다리겠습니다.

 

아마도 오늘 미국 마이크론과 애플 주가에서 판가름 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도 최악의 경우는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하이닉스의 라인 피해 규모가 크다는 나쁜 상황을 가정하여 전망 말씀드립니다.

 

▶ 피해규모는 라인공조가 유지되었느냐 아니냐에 의해 결정될 것

 

- 라인 공조가 깨졌다면, 파티클 문제로 라인내 웨이퍼 폐기 불가피

 

- 이경우 피해규모 최소 수천억 예상

 

▶ 반도체 가격 전망

 

- DRAM 가격 긍정적 (DRAM 쇼티지)

 

- NAND 가격 부정적 (세트업체 공급 물량 감소)

 

▶ 삼성전자 매우 긍정적, 애플 부정적

 

- 삼성전자는 DRAM 가격 상승, 경쟁업체들의 마진압박과 물량감소의 수혜

 

- 애플 등 세트업체들은 부품 공급차질 불가피

 

SK하이닉스 부정적

 

- 보험계약 상황에 따라 피해여부 결정될 것으로 판단

 

▶ 장비업체 긍정적

 

- 삼성전자향, 하이닉스향 장비업체 모두 수혜

 

- 큰 폭의 쇼티지 발생할 경우, DRAM 업체들 모두 캐파 증설 가능

 

▶ 패키징/테스트 업체 긍정적

 

- 웨이퍼 출하량 감소로 웨이퍼 물량과 실적 연관된 업체들 부정적

 

 

보험업종) SK하이닉스 중국공장 화재 손보사 영향  하나대투

 

재산종합보험(유형, 무형, 재고, 기업휴지 보상) 가입 중

(부보현황)

- 원수사는 삼성, 동부, 현대(주간), LIG / 재보사는 코리안리 위험보유

- 보유율은 최대 3% 이내이며 각각 재보험을 통해 헷지 중

 

영향 및 결론

- 각 사별 손실예상액은 최대 10~50억 내외 예상. EPS -0.7% 이내, BPS -0.06% 이내 영향

- 손보사 주가 영향 미미

  , 기업휴지손실 규모 등의 정확한 손실액 규모 확정 필요 

 

  

[한국증권 이철호] 중국 우시 하이닉스 화재사고 관련

● 현대해상 IR에서 전해온 내용.

 

1. 사고내용 : 9.4() 현지시각 15:40경 화재사고 발생

 

2. 계약인수 : 당사 중국법인 50% 공동인수 외

 

3. 보험계약내용 : 재산종합보험

 

4. 손해내용 : 현재 파악 중

 

5. 기타 : 중국법인 계약이어서 보유율은 낮은 편이며, 초과손실액재보험 (XOL ; Excess of Loss) 이 운영되어 최대손실액은 해당 재보험의 Excess point 로 제한

 

● 우리가 파악하는 상황.

 

- 현대해상 외에 익스포저 있는 국내 보험사는 LIG 와 코리안리

 

- LIG는 인수비율 5%, 코리안리는 XOL 계약으로 인해 최대 손해액 15억원

 

 

DRAM 현물 가격, 급등  (현대)

 

- 4Gb 1600Mhz 1333Mhz 제품은 각각 5.4%, 2.0% 상승했고, 2Gb 1600Mhz 1333Mhz 제품은 각각 16.1%, 15.6% 급등.

 

예상했던 바대로 하이닉스 화재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수급 불균형에 대비한 투기 수요 때문으로 판단.

 

하이닉스의 화재 관련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는 현 수준에서 가격 유지 가능성 높음.

하지만, 이후 투기 수요가 감소하게 되면 현물 가격은 안정을 찾아갈 전망.

 

- 9월 상반월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던 고정거래선 가격도 상승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http://www.dramexchange.com/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utdowns  (0) 2013.10.02
Galaxy Note 3 & Galaxy Gear  (0) 2013.09.06
국민연금 보유종목 시총 순  (0) 2013.07.19
Guide to the Markets - J.P. Morgan Conference  (0) 2013.07.13
KONEX (2013.07.01)  (0) 201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