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중산층 정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인들은 중산층의 정의를
1.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2. 월수입 500만원 이상
3. 2,000cc급 중형차 이상 소유
4. 예금액 잔고 1억원이상 보유
5. 해외여행 1년에 한차례 이상 다니는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퐁피두 대통령이 'Qualite de vie'에서 제시한 프랑스 중산층의 기준은
1. 외국어 하나정도는 할줄 알고
2.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어야 하며
3.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고
4. 남들과는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으며
5. '불의에 대한 공분'에 공연히 참여하고,
6.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라고 한다.
옥스포드대학에서 제시한 영국의 중산층기준은
1. 페어플레이를 하고,
2.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지며
3.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4.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맞서며 5. 불의, 불평, 불법에 의연히 대처하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끝으로 미국의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 기준은
1.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2. 사회적인 약자를 도와야 하며,
3.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는 것
4.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 있을 것이라고 한다.
물론 이상의 정의들이 꼭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거나 정의된 것이 아닐 것이므로 각국이 추구하는 중산층이라는 개념을 직접 비교하는 잣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오늘날 한국인들이 상정하는 중산층에 대한 개념이 지나치게 물질적으로 경도되어 있다고 하는 데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라 생각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통계 작성상의 목적을 위해 중위가구소득의 150%이하, 50%이상의 소득을 가진 가구를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다.
'雜同散異 > 同床異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계 뒷담화 (0) | 2013.02.17 |
---|---|
게임업계 뒷담화 (0) | 2013.02.17 |
아는 게 藥 1...댓글 쓸 때도 관련법을 알고 쓰자 (0) | 2009.11.18 |
이메일 압수수색은 압수수색대로... (0) | 2009.11.07 |
감청은 감청대로...쓰벌 (0) | 2009.11.06 |